지난 4월 공모한 SKiet 처음 공모가는 105,000원으로 시작해225,000원을 찍고
최저가인 138,000원을 찍고 연일 상승 중 입니다.
7월 22일 7프로 상승한 현재 231,500원에 거래 중 입니다.

SKiet는 SK이노베이션 주식회사의 소재사업부문을 단순ㆍ물적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배터리 소재 등의 생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사업목적
1. 전지, 영상표시장치, 정보통신기기 관련 소재 및 원재료의 제조, 개발, 판매, 수입, 수출
2. 제품 및 원재료 부산물의 리사이클링, 판매
3. 기술의 연구, 개발, 조사, 시험분석, 공정운영 등 기술용역사업
4. 무형자산, 지식재산권의 매매, 라이선스 및 관련 용역사업
5. 경영자문 및 사무지원 용역사업
7. 신ㆍ재생에너지의 생산, 수송, 공급, 에너지 효율화 관련사업 및 탄소배출권 거래사업
9. 전 각호의 사업 및 신규사업과 관련한 공장, 시설, 설비, 부동산 등의 건설, 소유, 운영, 매매, 임대사업
10. 전 각호의 목적달성에 부수 또는 수반되거나 직접, 간접으로 회사에 유익한 부가사업 및 기타 업무 수행
산업 개요
배터리의 4대 구성요소 중 하나인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직접적 접촉을 차단하는 절연 소재의 얇은 막으로
눈에는 잘 보이지 않는 미세한 공기구멍(pore)를 갖고 있는 다공성 필름입니다.

배터리 내에서 양극과 음극이 직접 접촉 시, 도선을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거나, 반응에 의한 화재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설치하여, 양극과 음극이 직접 만나 발생할 수 있는 단락을 방지하고,
미세기공을 통해서는 리튬이온만을 위한 이동통로를 제공해, 리튬이온이 양극과 음극을 오가며, 충전과 방전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에 더해, 배터리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 배터리 내부가 고온 상태가 되면, 분리막 상 미세기공이 차단되어
내부 단락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으며,
높은 기계적 강도를 지니고 있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나 이물질 등을 막아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대표적인 분리막 소재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혹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등의 절연 특성이 뛰어난 고분자 수지가 사용되며,
공정에 따라 건식법(dry process)을 적용한 건식 분리막(dry separator)과 습식법(wet process)을 적용한 습식 분리막(wet separator)으로 구분됩니다.

건식 분리막은 물리적인 연신과 저온에서 열처리 공정을 통해 미세균열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습식과 비교하면 초기 투자비용이 적지만, 공정 특성상 균일한 기공을 형성하기 어렵고 박막화가 어려워,
높은 에너지 밀도를 비교적 요구하지 않는 ESS용 배터리, 전기버스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습식 분리막은 고분자 PE를 기본 원재료로 고온에서 필름을 압출한 뒤 유기용매(solvent)를 활용해 왁스를 추출하여
미세기공을 형성한 후, 연신을 통해 기공을 확장하는 방식이며, 강도, 탄성 및 두께, 기공 균일도 등이 우수합니다.
습식법은 초기 투자비용이 높지만, 기공이 균일하며 박막화에 유리해 높은 에너지 밀도를 요구하는 EV 또는 IT기기에 탑재되는 배터리에 주로 사용됩니다.
분리막은 배터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으로 분리막의 수요는 배터리의 생산량에 따라 연동되는 경향을 띠며, 최근에는 각국의 환경규제로 인하여
내연기관 차량 퇴출과 동시에 EV 보급이 확대되면서 배터리 수요가 급증하여 분리막의 수요도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 일반화 되는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맞아, 모든 사물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Battery of Things 시대가
함께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향후 고성장이 예상되는 EV용 배터리 수요 급증에 따라 분리막 공급 증가가 수요 증가 속도에 미치지 못하여, 2023년 이후 산업 전반적으로 공급부족 현상이 예상되며
중장기적으로 이와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분리막 양산 경험과 기술 노하우가 부족한 업체들의 경우 발표된 증설 계획 대비 일부(50%~60%)만
실제 공급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글로벌 선도 업체 수준의 생산성 및 품질 확보 지연이 지속될 경우 증설 계획 취소 및 공급부족 심화 가능성도 존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장점유율

분리막 제조사 중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에 납품되는 Top-tier 배터리의 부품 요구 수준에 부합하는 기술 및 생산능력을 보유한 기업을 Tier-1 분리막 제조사로 분류하고 있으며,
Tier-1 업체들은 SK이노베이션,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Panasonic 등의 선도 배터리 업체를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습니다.

SKiet 중장기 성장 투자계획 - 향후 5년간 약 5조원 투자
◎ 당사 생산설비 증설 계획 및 목표
- LiBS 생산설비 증설 계획: ~2025년 40억㎡
- 영업실적 목표: EBITDA 2021년 3천억 → 2023년 7천억원 → 2025년 1.4조원 (영업이익 1조원)
종료일 : 2025-12-31
예상투자금액 : 2021년 ~ 2025년 5년간 약 5조원
기대효과 : "Green Energy & Materials Co." 지향을 통한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 극대화
투자 위험 요소
1. 사업위험(글로벌 경기 변동성에 관계된 위험)
주요 제품인 분리막에 대한 수요는 글로벌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 정부 규제 및 정책의 변화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
산업 전반에 걸쳐 주요 업체가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분리막이 채택되는 제품 또는 그 전방 시장의 수요 증가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당사 제품의 공급 과잉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제품의 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과 관계된 위험
배터리의 수요나, EV를 비롯한 최종 전방 시장의 수요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당사의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할 가능성
3. COVID-19 등 감염병과 관계된 위험
4. 경쟁 위험
배터리 소재인 분리막은 경쟁 강도가 높은 편
회사위험(소송관련)
SK이노베이션 및 LG화학 등은 2021년 4월 11일 국내외 쟁송 일체를 상호 취하, 현재 소송 중인 특허 및 영업비밀 관련 부쟁송합의 및 향후 출원/등록할 특허에 대해
향후 10년간 추가 쟁송을 하지 아니하는 대가로 SK이노베이션이 LG화학 등에게 일시금 1조원과 총 1조원 한도의 소정의 로열티를 지급하는 취지의 합의를 추진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위 합의가 체결되는 경우 LG화학 등이 SK이노베이션을 상대로 요청한 리튬이온배터리, 배터리 셀, 모듈, 팩 및 부품에 대한 10년간의 미국 내 수입금지를 인용하는 취지의
2021년 2월 10일(현지시각) ITC의 최종 결정은 그 효력을 상실할 예정입니다.그 외의 관련 소송들 역시 위 합의 체결에 따라 종결될 예정입니다.

본 글은 투자 추천글이 아니며,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이노베이션 사업분석 및 향후 전망 11.01 시황 (0) | 2021.11.01 |
---|---|
sk텔레콤 사업분석 및 인적, 액면분할 (0) | 2021.10.19 |
금감원, 크래프톤, SD바이오센서에 이어 카카오페이 정정신고서 제출 요구 (2) | 2021.07.16 |
에이치엘비 제2의 게임스탑? 현 공매도 제도의 문제점 (2) | 2021.07.16 |
효성첨단소재 실적 기대로 인한 주가 상승. 주요 사업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