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ESG란 무엇인가? 요즘 핫한 esg 경영에 대해 알아보자

레드루비 2021. 6. 14. 01:44
반응형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nvironmental(환경)
Social(사회)
Governance(지배구조)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 ( 환경, 사회, 지배구조)



기업활동에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 투명한 경영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하기 위함.

2006년 유엔(UN)이 투자 결정 과정에서 ESG 요소를 반영하도록
PRI(책임투자원칙)을 마련하면서 ESG에 대한 투자 개념이 확립됨






왜 요즘 ESG에 대한 뉴스가 많이 나올까?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blackrock)의 최고 경영자 래리 핑크(Larry Fink)는 작년 연차 서신에서
“새로운 기후 현실”에 맞설것을 촉구. “블랙록은 25% 이상의 수익을 화석연료를 통해
창출하는 회사들을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제외할 것” 이라고 발표







MSCI-ESG 관리 수준이 높은 기업은 기업의 고유 위험과 체계적 위험이 모두 낮은 수준으로 나타난다.



올해 역내 모든 금융회사가 의무적으로 ESG를 공시해야됨으로 기업 하나둘씩 서둘러서 ESG 경영에 대해 공시.
(최근에 기사로 많이 접할 수 있었던 이유)



각 나라의 중앙은행, 기관 투자자들은 이를 중요하게 여겨 esg 관련 펀드, 채권 등 금융 상품들이 쏟아져 나옴




2019년 글로벌 ESG ETF 연간 자금 유입 규모 314억 달러
2020년 글로벌 ESG ETF 연간 자금 유입 규모 890억 달러
184% 성장



2015~2020년 ESG ETF 자금 유입




국내 증권사 - 최근들어 많은 ESG채권, ELS, ETF, 펀드 등 관련 상품을 선보임




출처 : 중앙일보




ESG에 대한 투자는 국내 및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지만 관련 정보가 부족!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할 객관적인 투자지표가 아직 없음)




글로벌 기업에 대한 평가 결과도 차이가 크게 나타남.
블랙록이 구성하는 ESG ETF를 구성하는 217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MSCI와 레피니티브의 평균 등급차는 1.0단계로 나타남
2단계 차이 나는 기업 : 28개
3단계 이상 차이 나는 기업 : 17개


국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 중 대표 3개 ESG 평가 기관이 등급을 발표한 55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ESG 등급 평균 격차는 1.4 단계
3단계 이상 차이 나는 기업은 22개로
전체의 40%를 차지


*아직 ESG 기업들에 대한 객관적인 투자 지표가 없으므로 자료만을 믿고 투자하기엔 어려울듯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