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 중앙은행(한국은행)이 전자적 형태로 발행하는 디지털 형태의 통화
실물 명목화폐를 대체하거나 보완하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이 발행한 디지털 화폐입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민간 가상화폐와 달리 각국 중앙은행이 발행한 디지털 화폐를 뜻하며 블록체인이나 분산원장기술 등을 이용한 전자적 형태의 저장방식의 암호화폐와 유사하지만 중앙은행이 보증한다는 점에서 안정성이 높습니다.
또한, 국가가 보증하기 때문에 일반 화폐처럼 가치 변동이 거의 없으며 현금과 달리 거래의 익명성을 제한, 정책 목적에 따라 이자 지급, 보유한도 설정, 이용시간 조절이 가능합니다.
기존 전자지급 수단과 CBDC를 이용한 지급결제 비교
CBDC의 장점을 쉽게 말하자면
1. 거래 내역이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탈세나 자금세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중앙은행의 관리 체계하에 있어서 도난, 분실 우려가 감소됩니다.
3. 디지털 화폐의 장점으로 거래의 신속성,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CBDC가 도입된다면?
금융시스템의 변화로 민간 금융기관의 중개 기능 약화
편의성 + 높은 신뢰도 -> CBDC의 수요상승 -> 일반은행 예금 수요 감소
주요국 CBDB프로젝트 추진현황
국가 간 지급 서비스 혁신 가능성
개별 국가의 CBDC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외환동시결제가 이뤄져 높은 효율성, 비용 감소, 국가 간 지급서비스 이용증가 예상
즉 국가 간 송금, 무역대금 지급 등 편해지고 달러를 대체할 수 있는 기축통화가 될 수 있지만 공급이 제한되어 가치를 보존할 수 있는 암호화폐들과는 달리 CBDC는 중앙은행이 계속 발행함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측면도 나오고 있습니다.
참고 PDF
https://www.kcmi.re.kr/modmail/2021/20211014/mail/pdf/2.pdf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러스의 시대 오미크론, 코로나19 그리고 국내 확진자 (0) | 2021.12.01 |
---|---|
대체불가토큰 NFT가 뭐길래 난리일까? (0) | 2021.11.11 |
성장주 vs 가치주 차이 및 특징 (0) | 2021.07.04 |
6월 15일 연준 통화정책회의 브리핑 (0) | 2021.06.17 |
미국 연준 FOMC, 기준 금리 인상 및 테이퍼링(양적완화) (0) | 2021.06.16 |